앞으로 3년간 총 200억원 투입해 행정·마이스·교통 체계 개편
국토부 2023년 거점도시 선정.. "고양시만의 스마트한 도시의 삶 실현"
고양특례시는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인 ‘2023년 거점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동환 시장이 직접 발표까지 하면서 필요성을 강조하여 "고양시가 국토부의 거점형 스마트시티’로 최종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시는 앞으로 스마트 기술을 접목, 행정 서비스 뿐만 아니라 교통, 안전, 환경 등 시민들의 실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공모사업 선정을 위해 이 시장이 직접 나서 발표를 할 만큼 공을들여 지난 2일 서울 스페이스에이드 CBD에서 열린 최종 평가에 최선을 다했다.
고양시는 3년간 국비지원 100억 원을 포함해 총 2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거점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은 도시 전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허브 및 가상 모형(디지털 트윈) 인프라 기반의 서비스를 구축해 스마트시티의 확산 거점을 조성하기 위해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며 이번 공모 선정됐다.

시는 1기 노후도시와 3기신도시를 보유하고 있는 수도권 북부의 특례시이면서 전국의 스마트 핵심도시를 S자로 이어주는 시작 도시로 국토 스마트 구상에 맞는 고양형 혁신모델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다양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허브 및 플랫폼 구현 △도시의 미래 모습을 3차원 디지털 트윈으로 제공 △ChatGPT 기반의 AI행정서비스 △지역산업과 연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데이터에 기반한 최첨단 교통분석시스템 구현과 스마트시티 이노베이션 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데이터 기반으로 도시관리 서비스와 인공지능(GPT)을 활용한 행정 서비스, 화훼·전시(마이스) 등 산업과 연계한 체험 서비스, 드론 산업의 인프라 마련, 최첨단 교통분석시스템 구현, 수요응답형 버스를 운영할 수 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