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의 늑장대응, 中 비밀경찰서 의혹에 "먼저 사실관계 등 파악돼야"
외교부의 늑장대응, 中 비밀경찰서 의혹에 "먼저 사실관계 등 파악돼야"
  • 인세영
    인세영
  • 승인 2022.12.23 15:00
  • 댓글 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교부가 중국의 한국 내 비밀경찰서 개설 의혹과 관련해 구체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어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

해외 각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자국내 중국 경찰서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폭로된 경우 해당 국가의 외교부가 적극적으로 수사에 협조해 주는 것과는 전혀 다른 반응이기 때문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22일 기자들과 만나 '외교부가 언급할 사항이 없다고 하는 이유는 아직 사실관계 파악이 끝나지 않았기 때문인가, 아니면 외교적 관계를 고려해 구체적 입장을 밝히지 않겠다는 취지인가'라는 질문에 "아직 현시점에서 외교부 차원에서 드릴 말씀이 없다"고 말했다.

이번 사안에 대해 중국 측이 한국 정부에 설명한 것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가 아는 바에서는 아직까지 그런 내용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스페인에 본부를 둔 국제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는 지난 9월 중국이 반체제 인사를 탄압하기 위해 유럽을 중심으로 해외 21개국에 54개의 비밀 경찰서를 개설했다고 폭로했으며 지난달에는 한국을 포함, 48곳에서도 추가 시설을 확인했다고 공개했다.

현재 정부는 군, 경찰의 방첩 조직 등이 참여하는 가운데 중국의 한국 내 비밀경찰서 개설 의혹에 대해 확인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한국 내 비밀경찰서 운영이 사실이라면 타국에서의 활동에 관한 관행이나 국제규범 위반 소지가 있다. 일례로 주재국의 승인이 없음에도 공식 외교공관이 아닌 곳에서 영사 업무를 하는 것은 '영사 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에 어긋난다.

외교부는 "현시점에서 특별하게 언급할 사항이 없다"며 "외국 기관의 국내 활동과 관련해서는 우리 국내 법령과 국제규범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국들과 소통하고 있다"는 일반론적 입장만 밝히고 있을 뿐 적극적인 대처는 없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소통 중인 '관련국'에 중국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물론 중국을 포함한 모든 해당 국가가 포함된다"고 언급했지만, 이후 "중국을 타깃으로 해서 말씀드린 것이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외교부는 지난 한중 수교 30년 행사장에서 중국을 한국보다 먼저 표기한 중국 대사관의 행위을 따져 묻는 국내 기자들의 질문에도 당당 부서인 동북아과 등을 비롯한 모든 부서에서 모르쇠로 일관했다. 

외교부 내 지나치게 중국에 의존적인 친중 세력이 다수 포진하고 있다는 의혹이 나오는 대목이다.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5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순옥 2022-12-25 23:33:17 (182.231.***.***)
공자학원이 문제가 많아요..... 공산당 길러내는 곳이라고....전국 공자학원 공론화 및 폐쇄가 답인듯요....
leonard 2022-12-25 00:38:33 (122.43.***.***)

원칙을 견지하고 국제법을 엄격히 준수하며, 각국의 사법 주권을 존중해왔다"며 "당신이 거론한 소위 중국의 해외 경찰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2022,11,19 조세일보 보도기사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해당 치안 단체가 행정・법률상 강제력을 띠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마을 치안 유지를 위해 재외동포들의 자발적 참여로 운영되고 있는 조직이라는 것이다...이와 관련 워싱턴 주재 중국 대사관은 해당 치안 조직의 존재에 대해 인정하면서도 경찰서가 아니라 치가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한 것에 대해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leonard 2022-12-25 00:37:49 (122.43.***.***)

아마 중국 해외 교민들이, 자치적으로 운영하는 민간단체일것. 중국 경찰에 소속된 사람들이 아니라는 중국 당국의 의견이 맞는것 같음. 중국 해외 교민들이 마을 치안 유지를 위해, 아시아인에 대한 불법 테러나, 자체의 범법도 예방하는 그런 기능을 가진 단체로 보임. 한국도, 국내에 자율방방범대 있지 않습니까? 자경단 차원으로 보이는데, 너무 비약한것 아닙니까? 문화차이에서 빚어지는 오해로 보여집니다.

2022, 12, 22, 연합뉴스 조준형특파원 보도기사

중국 외교부는 한국에도 중국의 이른바 '해외 비밀 경찰서'가 개설됐다는 의혹에 대해 부인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 내 '비밀 경찰서' 설치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묻는 연합뉴스의 질의에 "중국은 일관되게 내정 불간섭
이상문 2022-12-23 19:40:21 (175.113.***.***)
윤석열 대통령은 코로나 독백신 사건을 철저히 수사해서 독백신 성분을 만천하에 공표하고 대한민국에 있는 독백신 전체 폐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대한민국에 중국 비밀경찰국 철저히 수사 해서 관련자들 사형에 준하는 처벌을 내려 주십시요~
ㅇㅇ 2022-12-23 16:47:29 (61.245.***.***)
군인들 강제접종시킨다는 악법 크리스마스까지입니다. 기사로 퍼트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pal.assembly.go.kr/law/readView.do?lgsltpaId=PRC_X2N2E1G2V0L7C1Q1U2O4P2P2R8J2Q7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