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은 돈이 안 된다고?"…네이버웹툰, 기업가치 3.7조원으로
"웹툰은 돈이 안 된다고?"…네이버웹툰, 기업가치 3.7조원으로
  • 김현주 기자
    김현주 기자
  • 승인 2024.06.27 1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료결제 시장 성장…올 1분기에야 순이익, 지속적인 수익성 확보는 과제

나스닥 상장을 앞둔 네이버웹툰이 공모가를 확정하면서 몸값이 4조원에 육박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게 됐다.

[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TV 제공]

네이버웹툰의 본사이자 북미 법인 웹툰엔터테인먼트는 26일(현지시간) 주식 공모가격을 주당 21달러로 확정했다.

이를 기준으로 한 웹툰엔터테인먼트의 예상 시가총액은 26억7천만달러, 우리 돈으로 3조7천억원에 이른다.

1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웹툰은 대부분 무료로 제공돼왔다. 그렇기 때문에 웹툰으로 플랫폼 이용자를 모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 돈이 되지는 않는 인식이 팽배했다.

하지만, 웹툰 산업은 최근 몇 년 사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했고 콘텐츠 유료화 모델도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이제는 쿠키(네이버웹툰 작품 열람·소장에 사용하는 화폐 단위)로 다음 화를 결제해서 보거나, 좋아하는 작품을 소장하는 것이 일상적인 일이 됐다.

여기에 웹툰을 원작으로 둔 드라마와 영화가 늘어나면서 IP(지적재산) 씨앗으로 주목받았고, 광고 사업도 활발해져 웹툰의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다.

지난해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약 12억8천만달러의 매출을 올렸는데, 이 가운데 80.2%는 유료 콘텐츠 판매로 벌어들였으며 광고료 비중은 11.3%, IP 확장은 8.4%였다.

K-웹툰 (PG)[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K-웹툰 (PG)[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앞으로도 유료 결제 시장은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향후 유료 콘텐츠로는 1천300억달러의 시장기회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용자 1명의 월평균 결제액(ARPPU)도 조금씩 늘고 있다.

2022년 1분기만 하더라도 글로벌 월간 ARPPU는 7.8달러에 그쳤지만, 이듬해 동기 11달러가 됐고, 올해 1분기에는 11.5달러로 늘었다. 월간 유료 이용자 수(MPU)는 올 1분기 기준 780만명이었다.

웹툰엔터테인먼트가 유로모니터에 의뢰해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북미에서 유료 콘텐츠 ARPPU는 연간 203달러까지 성장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외에도 웹툰엔터테인먼트는 IP 사업에서 9천억달러, 광고에서 6천800억달러의 시장기회를 엿보고 있다.

다만, 이를 바탕으로 확실하고 지속적인 수익을 내는 것이 과제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지난해까지 내리 순손실을 내다가 올 1분기에야 순이익을 냈다.

지난해 총 1억4천480만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고, 작년말 기준 누적 적자는 3억6천330만달러다.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비용 통제와 수익 극대화에 힘쓰면서 올해 1분기 가까스로 623만3천달러의 순이익을 냈다.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2천196만9천달러였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에서 "당사는 순손실 이력이 있으며 향후 비용 증가로 수익성을 달성하거나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출처: 연합뉴스 보도자료)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