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먹거리'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술 고도화에 1천395억원 투자
'미래먹거리'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술 고도화에 1천395억원 투자
  • 김건희 기자
    김건희 기자
  • 승인 2024.06.20 14: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부, 킥오프 미팅 주최…업계·산기평·반도체연구조합 MOU
SiC 전력반도체 제조용 웨이퍼[한국전기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iC 전력반도체 제조용 웨이퍼[한국전기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미래 반도체 먹거리로 꼽히는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술 고도화를 위해 정부와 업계가 5년간 총 1천385억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산기평), 한국반도체연구조합, 전력반도체 업계 등 관계자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화합물 전력반도체 산업 고도화를 위한 킥오프(Kick-off) 미팅'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력반도체는 전기를 활용하기 위해 직류·교류 변환, 전압·주파수 조정 등 전력의 변환·안정·분배·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다.

이 가운데 화합물 전력반도체는 질화갈륨(GaN)과 실리콘카바이드(SiC)처럼 두 종류 이상의 원소 화합물을 활용한 제품으로, 기존 실리콘(Si) 단일 소재의 전력반도체와 비교해 전력 효율과 내구성 등이 뛰어나 차세대 반도체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화합물 전력반도체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을 국책 사업으로 선정해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국비 939억원, 민간투자 446억원 등 총 1천385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날 킥오프 미팅에서 참석한 업체·조합·기관은 화합물 전력반도체 기술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국내 화합물 전력반도체 생태계를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MOU에서 산기평은 사업 참여 기관들에 대한 연구개발(R&D) 전 주기를 밀착 지원하고, 조합은 화합물 전력반도체 분야별 협의체를 주관하기로 했다.

업계는 소재, 소자, IC(집적회로), 모듈 등 화합물 전력반도체 밸류체인(가치사슬)별로 국내에 선순환적 산업 생태계가 마련되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대표 참여 기업은 화합물 전력반도체 웨이퍼(반도체 제조용 실리콘 판) 생산 업체인 SK실트론(소재), 전력반도체 분야 대표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인 어보브반도체(IC)가, 8인치 레거시 공정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DB하이텍(소자·모듈) 등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국책 사업을 통해 화합물 전력반도체 생태계가 성공적으로 구축돼 한국이 시스템반도체 강국으로 도약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 보도자료)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