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싱크탱크 ITIF "바이오·AI 산업서 한미 협력 강화해야"
美싱크탱크 ITIF "바이오·AI 산업서 한미 협력 강화해야"
  • 김현주 기자
    김현주 기자
  • 승인 2024.06.12 10: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협 세미나…"韓, 미국내 공장설립·일자리 창출 성과 적극 홍보를"
"한미 공동개발로 원료의약품 中의존 탈피", "우호국 결집 AI 다자연구센터 설립"
한경협 FKI타워[촬영 이승연]
한경협 FKI타워[촬영 이승연]

미국 경제·혁신 정책 싱크탱크인 정보혁신재단(ITIF)의 로버트 앳킨슨 회장은 첨단산업 분야에서 한미 양국 협력의 시너지가 필요하다고 12일 밝혔다.

앳킨슨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개최한 '글로벌 첨단기술 선점을 위한 한미협력 세미나'에서 대선 이후 미국의 대외 정책을 소개하며 향후 협력을 위해 한국이 준비해야 할 과제를 제시했다.

앳킨슨 회장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연임에 성공할 경우 청정에너지 등에 대한 투자 확대를 포함한 '녹색 재분배'를 추진하고, 수출 통제 대상을 단계적으로 추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집권 시에는 '작은 정부 보호주의' 정책에 따라 동맹국을 대상으로 관세 상향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한국이 미국 내 공장 설립 및 블루칼라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성과를 적극 홍보하고, 자유로운 경영 활동을 보장하는 글로벌 스탠더드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양국 상호 협력이 가능한 분야로는 반도체, 양자컴퓨팅, 스마트시티, 로봇, 원자력, 조선, 스마트 제조 분야 등을 제시했다.

이어진 주제 발표에서는 첨단산업 중에서도 바이오, 인공지능(AI) 분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스티븐 엣젤 ITIF 부대표는 한국이 바이오산업 잠재력을 보유했는데도 가시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짚었다.

엣젤 부대표에 따르면 한국은 2022년 기준 개발 단계에 있는 임상 전 의약품을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10년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바이오 기술 논문 순위에서도 세계 3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ITIF가 개발한 해밀턴 지표(10개 선진 산업의 글로벌 부가가치에 대한 국가별 기여도 지표)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10개 선진 산업 중 제약 분야의 성과가 최하위 수준이었다.

엣젤 부대표는 한미 공동 개발을 통해 중국과 인도가 과점하고 있는 원료의약품에 대한 의존도를 해소하고, '프렌드 쇼어링'(우방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을 확대해나가자고 했다.

송치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AI 연구 최정상에 있는 미국과 한국이 주요 우호국을 모아 'AI 다자 연구센터'를 설립하자고 제안했다.

송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2022년 AI 연구자료 발표 건수, 2015∼2022년 누적 AI 특허 건수에서 미국과 한국은 나란히 1, 2위를 차지해 양국이 AI 연구개발의 주축이 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한미 관계가 단순한 안보동맹을 넘어 전략적 경제·기술 파트너십으로 확대된 상황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원천 기술에 강점이 있는 미국과 첨단 제조 분야에 강점이 있는 한국이 협력해나가면 엄청난 시너지를 일으킬 것"이라고 했다.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