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 "美 AI·빅테크 쏠림은 자본 집약 구조 때문"
신한투자 "美 AI·빅테크 쏠림은 자본 집약 구조 때문"
  • 김현주 기자
    김현주 기자
  • 승인 2024.06.18 09: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재 인프라 구축 단계…B2C 전환해야 중·소형주 기회"
온디바이스 AI (PG)[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온디바이스 AI (PG)[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신한투자증권은 18일 미국 시장에서 인공지능(AI), 빅테크 종목만 강한 실적 개선이 나타나는 데 대해 "잉여 자원을 다시 AI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자본 집약적인 현재 구도에서는 이른바 '낙수효과'는 기대하기 힘들며 이런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성환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내 시총 상위 10개 기업이 지난 1년간 시장 전체의 이익 증가 중 63%를 설명한다"며 "쏠림이 나타나는 근본적인 이유는 빅테크가 구(舊)산업과 경쟁자를 밀어내면서 경제 내에서 점유율을 늘리고 이익을 독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김 연구원은 "현재 AI 사이클은 인프라 구축 단계의 B2B 사이클로, 대규모 컴퓨팅 파워와 AI 엔지니어를 갖춰야 하는데 비용이 만만치 않다"며 "이를 무리 없이 감당할 수 있는 기업은 결국 미국 빅테크뿐"이라고 했다.

AI 서버 가격이 일반 서버의 7배에 달하고 오픈AI 엔지니어의 연간 급여는 평균 미국인(6만4천달러)의 10배에 달하는 50만∼90만 달러라는 것이다.

시장 지배력 유지를 위해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 만큼 이들이 벌어들인 이익은 전체 경제로 퍼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다시 AI에 투자되고 있다.

김 연구원은 "향후 AI 성장의 과실은 빅테크가 독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빅테크 일변도'의 실적 장세가 타파되기 위해서는 과잉투자 징후가 나타나거나, 검색광고·전자상거래·클라우드 등 AI 구매자들의 본업이 정점을 통과하는 모습 등이 나타나야 한다며 "전체적인 정황을 감안하면 빅테크, 반도체에 집중된 이익 구도가 갑자기 변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다만 김 연구원은 "인프라 구축이 마무리되고 B2C향 서비스 개발이 중요해지는 시점에는 중소형주도 개입할 수 있게 된다"며 "곧 만날 수 있는 변수는 소비자의 이목을 끄는 AI 제품의 성공 여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출처: 연합뉴스 보도자료)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