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건표 칼럼] ③ AI 기술의 혁신, 고령화 사회에서 삶의 질 향상의 열쇠
[홍건표 칼럼] ③ AI 기술의 혁신, 고령화 사회에서 삶의 질 향상의 열쇠
  • 편집국
    편집국
  • 승인 2024.06.18 0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립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AI 기술과 Age-Tech의 발전 및 기대효과

인공지능(AI) 기술이 초고령사회에서 노인의 삶의 질을 어떻게 향상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2025년이 되면 한국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천만 노인 시대가 도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접근이 요구된다.

초고령사회에서는 단순한 돌봄을 넘어 자립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AI 기술은 노인들의 자립적이고 자기 결정적인 삶을 지원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AI 기반의 스마트 홈 시스템은 온도, 조명, 보안 시스템을 자동으로 조절해 노인이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술은 신체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돌봄 종사자들의 업무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노인들이 자신의 생활 환경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율성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AI 기술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다. 노인의 건강 상태, 생활패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해 개별화된 건강 관리 계획과 생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웨어러블 헬스 모니터링 장치나 AI 스피커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노인의 신체 활동, 심박수, 수면 패턴 등을 추적하고,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즉각 경고를 보내 의료진의 신속한 대응을 돕는다. 이는 노인들이 자신의 건강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며 독립적인 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고령 친화적인 생태계 구축은 AI 기술이 기여할 수 있는 또 다른 중요한 분야이다. 다양한 기관과 조직이 협력해 보다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 사회복지 기관, 돌봄 서비스 제공자, 기술 개발자들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각 기관은 노인의 건강과 독립적 생활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접근하고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노인들이 개별화된 건강 관리 계획, 사회적 상호 작용 기회,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에서의 독립적 생활 등을 경험하며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Age-Tech는 고령화 경제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기술로, 고령자의 건강과 사회적 돌봄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술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고령자의 일상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어 주며, 결과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한다. 예를 들어, 지능형 보조 기술(IAT: Intelligent Assistive Technology)은 일상생활 활동을 지원하며, 이는 노인의 독립적이고 편안한 생활을 돕는 중요한 요소이다. IAT가 지원하는 여러 일상생활 활동은 ADL 관리, 식사 보조, 청결 유지, 의복 착용, 기본 존중, 이동, 게임 또는 교육, 감정 조절 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AI 기술의 도입은 고령자가 보다 독립적이고 편안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고령화 사회의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고령 친화 기술 생태계 구축을 통한 기대효과로는 일자리 창출, 경제적 수익, 국민 생활, 산업적 측면에서 효과가 크다. 돌봄 기술 개발자, 돌봄 기술 컨설턴트 등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으며, 경제적 측면에서는 돌봄 종사자의 신체적 부담 경감에 따른 의료비 절감과 직무 만족도에 따른 이직률 감소가 기대된다. 또한 돌봄 수혜자인 노인의 건강 수준 향상으로 의료비 및 장기 요양비 감소 효과도 있다.

결론적으로, AI 기술은 고령화 사회의 다양한 도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술 개발자들은 고령자의 특성과 요구를 공감하고 존중하는 윤리적 접근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디자인을 중요시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I 기술의 발전은 고령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이는 사회 전체의 발전과 번영에 기여할 것이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