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품 업체, 50% 할인까지 앞세워 지갑 닫은 中고객에 구애
고가품 업체, 50% 할인까지 앞세워 지갑 닫은 中고객에 구애
  • 김현주 기자
    김현주 기자
  • 승인 2024.06.14 16: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발렌시아가·베르사체 등, 할인 폭 올리고 폼목도 늘려
에르메스·루이뷔통 등은 할인 없이 불황에도 '꿋꿋'
중국 베이징의 구찌 매장[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 베이징의 구찌 매장[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일부 고가품 브랜드가 중국에서 최대 50%에 이르는 전례 없는 수준으로 할인을 실시하고 있다.

이는 '시장의 기둥'인 중국 현지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임에 따라 재고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쇼핑객은 이번 달부터 알리바바그룹의 온라인 쇼핑몰인 티몰(Tmall)에서 베이지색 악어 무늬의 작은 아워글래스 핸드백을 35% 할인된 1천947 달러(약 270만 원)에 살 수 있다.

이런 가격은 전 세계 해당 브랜드의 공식 웹사이트는 물론 파페치를 비롯한 주요 고가폼 플랫폼들에 나와 있는 가격보다 저렴하다.

익명의 소식통들에 따르면 프랑스 케링 그룹 산하의 발렌시아가는 올해 첫 4개월 중 3개월 동안 세일 품목에 대해 평균 40% 할인을 제공했다.

또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티몰의 할인 품목 수를 배 이상으로 늘리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발렌시아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1월에만 할인에 나섰고, 할인율도 대략 평균 30%였다. 2022년 1~4월에는 전혀 할인이 없었다.

다른 브랜드들에서도 비슷한 추세를 엿볼 수 있다.

베르사체, 지방시, 버버리 모두 이번 달에 티몰과 다른 중국 플랫폼에서 가격을 낮췄으며, 일부는 할인율이 절반 이상에 달하기도 했다.

베르사체의 경우 평균 할인 폭은 지난해 초 약 40%에서 올해는 50% 이상으로 커졌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베르사체와 다른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할인 기간도 지난해보다 더 늘렸다.

할인 품목도 지난해에는 소수에 그쳤으나, 올해 첫 4개월 동안은 수백개로 많이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고급 이미지를 바탕으로 성장을 해온 고가 브랜드들 입장에서 몇 년 전만 해도 가격 전쟁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들이 플래그십 플랫폼에서 큰 폭의 할인을 전면에 내세우는 것도 드문 일이다.

리서치 업체 디지털 럭셔리 그룹의 임원인 자크 로이젠은 "세계에서 소비자와의 가장 눈에 띄는 접점인 티몰에서 이런 할인이 제공된다는 점" 때문에 놀랍기도 하고 솔직히 경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쇼핑지구로 유명한 뉴욕 맨해튼 5번가나 프랑스 파리의 샹젤리제에서 대놓고 세일하는 것과 같다고 덧붙였다.

업체들의 이런 전략은 불황으로 가계의 부가 쪼그라들면서 이들이 중국 본토에서 직면한 어려움을 드러내고 있다.

고가품 업체들이 매출 증대를 통한 실적 개선을 위해 중국에 의존하고 있지만, 시장의 큰손인 중국의 중산층은 점점 검소해지면서 세일을 기다리거나 아예 구입을 포기하고 있다.

고가품 업체들은 중국 시장의 수요 감소로 이미 타격을 받고 있다.

케링그룹은 지난 4월에 중국 내 구찌 매출이 부진해 올해 상반기 이익이 최대 45%까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버버리는 중국과 미국의 수요 감소로 주가가 지난해 절반 이상 폭락했고, 샤넬은 가격이 더 높은 제품군에서조차 상황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하소연한 바 있다.

한편에서는 할인 없이 좋은 성과를 거두는 업체들도 있다.

에르메스와 루이뷔통을 포함한 일부 최상급 브랜드는 여전히 더 나은 성과를 거두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할인을 포기하고, 온라인 거래를 제한하며, 순자산이 많은 고객에게 집중하면서 불황 면역력을 키웠다.

구찌나 프라다, 미우미우를 포함한 일부 브랜드도 중국의 전자 상거래 플랫폼에서 공개적인 할인을 피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보도자료)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