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는 금리 내렸는데 美연준은 언제?…'9월 첫 인하' 예상 많아
ECB는 금리 내렸는데 美연준은 언제?…'9월 첫 인하' 예상 많아
  • 장인수 기자
    장인수 기자
  • 승인 2024.06.07 09: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6일(이하 현지시간)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하면서 이제 세계의 시선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로 향하고 있다.

사실상 유일한 기축통화인 달러를 발행하는 미국의 기준금리는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 지표로 중요한 경제적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이번에 ECB가 주요 경제주체로서는 처음으로 약 2년 만에 정책 방향을 바꿨지만 미국 연준이 이를 따라 곧바로 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

미국의 물가나 임금, 경기 변화 추이 등이 유로존과 다르며, 따라서 금리인하 시기도 다를 것으로 관측된다.

투자자들이 연준의 첫 금리인하로 예상하는 시기는 각종 경제지표 동향에 따라 매일 시시각각 달라지지만 지금 시점에서는 9월을 점치는 이가 가장 많다.

수개월 전까지만 해도 6월이나 7월에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으나 요즘 이런 전망은 많이 나오지 않는다.

그나마 지난 4일 발표된 미국 노동부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서 4월 구인 건수가 805만9천건으로 2021년 2월 이후 3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왔기 때문에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많이 높아진 상태다.

노동시장이 많이 식었고 경기침체 우려까지 확산하면서 연준으로서는 금리를 내리기가 한결 편해졌다는 해석이다.

투자자들은 금리변동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선물거래를 많이 하는데 이 움직임을 보면 투자자들의 예상치를 가늠할 수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자료에 따르면 5일 기준으로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도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35.1%였다. 나머지 64.9%는 이때까지 한 번 이상 내릴 것으로 본 것이다.

한 번만 내릴 가능성이 55.3%로 대부분이며, 9.6%는 두 번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FOMC 회의는 1년에 8번 열리며, 8월과 10월에는 회의가 없다.

11월까지도 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보는 이는 23%다. 77%가 한 번 이상 내린다고 본 것인데, '한번 내린다'가 48.3%, '두 번 내린다'가 25.4%이며, '세 번 내린다'는 3.3%에 그쳤다.

12월이 되면 이때까지도 금리를 안 내릴 가능성은 8%로 줄어든다. 92%가 한 번 이상 내릴 것으로 보는 셈이다.

'한 번'이 31.8%, '두 번'이 40.3%, '세 번'이 17.7%로 나와 있다.

노동부 데이터가 나오기 전만 해도 12월까지 동결 전망이 18.03%에 이르렀기 때문에 지표 하나하나에 예상치는 크게 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나올 지표가 어떨지에 따라 금리인하 시기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임금이나 소비 관련 지표가 갑자기 악화한다면 7월 인하 가능성이 대두될 수도 있다.

지금 시점에서는 7월 인하 가능성이 16.5%에 불과하다.

5월 하순에 전미실물경제협회(NABE)가 회원 4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서는 평균 예상치가 '2번 인하'였다.

연초만 해도 시장에서는 올해 0.25%포인트씩 6∼7회 금리 인하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지만 이후 미국 경제가 계속 좋은 상태임을 보여주는 지표가 나오면서 예상 시기는 뒷걸음질 쳐왔다.

각국 중앙은행은 금리정책을 펼 때 물가와 경기 상황을 반영하는 임금지표를 많이 보는데 미국의 관련 지표는 지금껏 꽤 강한 모습이었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해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으며, 3월(3.5%)보다 0.1%포인트 내려왔다.

하지만 여전히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 2%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유로존의 CPI가 작년 12월 2.9%에서 올해 4월 2.4%까지 내려온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크게 느껴진다. 유로존은 5월 CPI도 나왔는데, 2.6%로 전월 대비 높아졌다. 이 때문에 금리인하에 부담을 느끼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지만 대세가 하락하는 추세라고 보고 이번에 금리를 내렸다.

연준이 CPI보다 더 중요하게 본다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역시 잘 안 내려오고 있다.

4월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7%, 전월 대비로는 0.3% 상승했다. 모두 3월과 같은 수준이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2% 각각 상승했다.

근원 PCE 가격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3개월 연속 같은 수준이다. 즉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는 상태여서 연준이 이를 근거로 금리를 조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최근 공개된 FOMC 의사록을 봐도 연준이 지금 금리 인하를 논의하는 단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에서는 작년 7월과 8월에 소비자물가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뛰었기 때문에 올해는 물가가 평소 수준의 흐름을 유지해도 기저효과가 작용해 8월 수치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

이런 수치는 9월 11일 나오기 때문에 일주일 뒤인 9월18일 연준이 FOMC에서 금리인하 근거로 삼기에 좋다는 추측도 나온다.

연준이 금리인하에 신중한 자세를 견지하고 있지만 고금리가 미국 경제에 좋기만 할 리는 없다. 금리가 높으면 소비를 위축시키고 이는 생산감소를 불러와 결국 경기를 하강시킬 수밖에 없다. 이게 심해지면 침체에 빠지게 된다.

대선을 앞두고 경기침체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고금리를 이어갈 것으로 보는 사람이 많지 않은 이유다.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