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건설사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적자'…작년동기 대비 악화
주요 건설사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적자'…작년동기 대비 악화
  • 장인수 기자
    장인수 기자
  • 승인 2024.05.22 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사비 상승 등으로 국내 주요 건설사들의 올해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2조원 이상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영업활동으로 발생한 현금의 유입·유출을 나타내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악화하는 것은 지출에 비해 수입이 적다는 의미로, 그만큼 기업의 자금 사정이 빠듯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22일 연합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등록된 시공능력 평가 50위 건설사 중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30곳(다른 사업 비중이 큰 삼성물산·한화 제외)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별도 재무제표 기준 영업활동 현금흐름 총액은 -2조3천169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조1천817억원)보다 적자 폭이 더 커진 것이다.

나아가 이들 기업의 영업활동 현금흐름 감소 폭은 영업이익 감소 폭에 비해 더 컸다.

조사 대상 기업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1조35억원에서 올해 8천687억원으로 13.4% 줄었으나, 현금흐름은 적자 폭이 배로 확대된 것이다.

업체별로는 ▲ 현대건설이 -8천747억원 ▲ SK에코플랜트 -4천214억원 ▲ 포스코이앤씨 -3천541억원 ▲ 대우건설 -2천840억원 ▲ 태영건설 -2천89억원 ▲ 삼성엔지니어링 -1천841억원 등 18개사가 마이너스 현금흐름을 기록했다.

반면 HDC현대산업개발(1천979억원), DL이앤씨(1천264억원), 롯데건설(1천167억원), 한신공영(803억원), 계룡건설산업(602억원) 등의 순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 흑자 폭이 컸다.

이 같은 마이너스 현금 흐름은 일시적으로 수금이 지연되면서 나타났을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공사 원가 상승 등으로 지출은 늘어난 반면 공사비용 상승분에 대한 발주처와의 협의 지연, 분양 감소, 미분양 등으로 수입은 줄어든 영향이 크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가파르게 공사 원가가 상승하면서 상승분만큼 현금 유출은 늘어난 데 반해 분양 규모는 줄고 미분양은 증가했다"며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당연히 현금이 들어오는 규모가 줄었다"고 말했다.

문제는 건설경기가 불황일 때는 이러한 여유자금 부족이 '돈맥경화'를 야기하며 기업 경영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지급 보증 등이 많아 PF 사업장에 연이어 문제가 발생한다면 위기가 커질 수 있다고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밝혔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 같은 시기는 현금 흐름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큰 건설사는 상대적으로 안전할 수 있지만 현금 흐름에 차질이 생기면 큰 건설사도 순식간에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