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촛불집회에 민주당 조직 동원 의혹 제기 "이태원 추모가 아니라 이재명 추종?"
與, 촛불집회에 민주당 조직 동원 의혹 제기 "이태원 추모가 아니라 이재명 추종?"
  • 인세영
    인세영
  • 승인 2022.11.07 08: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의힘 양금희 수석대변인

국민의힘이 이태원 사고 추모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주말 서울 도심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퇴진 촛불집회에 대해 강도높게 비판했다.

양금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6일 논평을 통해 전날 촛불승리전환행동(촛불행동)의 이태원 참사 추모 집회(주최측 추산 8만명, 경찰 추산 9000명)를 겨냥해 "민주당 조직이 동원된 정황이 언론보도 등에 드러났다"며 "지난 대선 당시 민주당 이재명 후보 캠프의 시민소통본부 상임본부장이었던 대표가 운영하는 '이심민심'"이라는 단체를 직격했다. 

양 대변인은  "'이심민심'에서 집회 공지와 참가 독려를 하는 텔레그램 '1번방'에는 민주당 송영길 전 대표, 박홍근 원내대표를 비롯, 지난달 8일 촛불집회에서 대통령 퇴진을 주장한 김용민 의원 등 민주당 현역의원 최소 10명과 전현직 시·군·구의원 수십명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 텔레그램 단체방을 통해 지난달 22일 '촛불행동'이 주최한 '정권 퇴진' 집회가 공지됐고, 전국적으로 최소 버스 27대에서 최대 81대 버스가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며 "또한 이태원 참사가 있었던 29일에도 '이심민심'의 정권퇴진 집회 참가 버스대절 공지가 있었다는 것"이라고 폭로했다. 

그러면서 "'이심민심'은 이태원 사고가 벌어지자, 11월 5일 '대통령 퇴진 집회'를 '추모 집회'(일명 이태원 대참사 추모집회)로 바꿔서 열자고 먼저 제안했다는 사실도 보도로 알려졌다"며 "그러다 비판이 제기되자 '수구보수언론과 수구보수가 이재명 대표님 및 민주당과 억지 연관을 지어서' 부득이하다며 자신들의 참석을 취소했다"고 지적했다.

양 수석대변인은 "국민의 슬픔과 비극마저 정쟁과 정권 퇴진 집회에 이용하려는 것인지 충격과 개탄을 금할 수 없다. 추모는 추모이지, 결코 추종의 기회가 될 수 없다"며 "국민들의 시위집회, 비판은 존중될 자유지만, 그 자유에는 거짓 정치선동의 '가짜 자유'는 없다"고 강조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원내대변인도 이날 논평에서 "어제 오후 '촛불승리전환행동'이란 단체는 서울광장 인근에 모여 윤석열 정부 퇴진을 외치면서 대통령을 향한 욕설도 서슴지 않았다"며 "이태원 사고 희생자들의 합동분향소 앞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믿기엔 부끄럽고 참담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 원내대변인은 "추모식에서 위로와 애도 대신 쏟아낸 욕설을 들은 국민은 추모를 가장한 정치선동임을 금세 알아챌 것이다. 민심이 아니라 욕심이 담긴 촛불은 자기 몸만 태울 뿐"이라며 "민심은 '선동'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는 '선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소중한 생명과 국민의 슬픔마저 정치적 선동에 이용한 대가는 결코 작지 않을 것"이라며 "현명한 국민들은 이제 낡은 정치선동에 대한민국의 운명을 함부로 맡기지 않는다. 희생자들의 명예마저 짓밟는 무도한 행위를 즉각 중단하기 바란다. 그것이 바로 민심"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도심 촛불집회 야당 연계설에 대해 "조직적 인력 동원을 한 적 없다"고 반박했다. 

유기홍 민주당 국민추모단장은 이날 용산 이태원 참사 대책본부 기자회견에서 "일부 언론에서 토요일 집회에 당이 조직적으로 인력을 동원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제가 추모단장으로 만약 참여한다면 당에 그런 의견을 전달하고 당의 공식 조직 라인을 통해 내려가야 하는데, 일체 그런 일은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박찬대 본부장은 "촛불집회와 관련한 당 공식 입장은 없다"면서도 "텔레그램방에 가입된 의원 이름이 있다고 해서 그게 당의 공식 입장이라곤 얘기할 수 없다"고 변명했다.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