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레이돔 올린 통제기 공개
북한, 레이돔 올린 통제기 공개
  • 인세영
    인세영
  • 승인 2025.03.27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피스아이'와 유사한 기체 비행 장면 노출…글 기사 언급없고 사진만 내보내
러시아 수송기 기반 제작…글로벌호크 빼닮은 정찰기와 AI 자폭무인기도 공개

북한이 '하늘의 지휘소'라 불리는 공중조기경보통제기를 공개했다. 

북한 관영매체들은 2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을 지도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그가 공중조기경보통제기로 보이는 기체에 탑승하고 내부에서 간부들에게 지시하는 사진을 보도했다.

이 항공기는 러시아제 일류신(IL)-76 수송기에 레이돔(radome)을 올린 형상이다. 레이돔은 레이더와 돔의 합성어로, 항공기 외부에 부착한 레이더 안테나의 방수·방진용 덮개를 의미한다.

이 레이돔은 원형이며 원 안에 삼각형이 그려졌다. 삼각형은 세 방향을 각기 고정 감시하는 레이더가 내부에 배치됐다는 의미로 추정된다. 고정형 레이더는 돌아갈 때 뒷면의 감시 공백이 발생하는 회전형 대비 성능이 뛰어나다.

보통의 군용기에 들어가는 레이더보다 훨씬 큰 이런 종류의 레이더는 출력과 탐지 거리가 월등하며, 상대 공군의 움직임을 넓은 범위에서 탐지하고 공중 작전을 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중국이나 인도도 IL-76 항공기에 레이돔을 올린 형태의 공중조기경보통제기를 운영하고 있다.

북한 공군이 공중조기경보통제기를 본격적으로 작전 운용할 경우 제한적이나마 한국 공군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북한 공군은 전투임무기 810여 대를 보유해 410여 대의 남측보다 숫자상 우세하지만, 6·25전쟁 때 사용된 미그(MiG)-15, 미그-17 등을 비롯해 '박물관에 있어야 할 비행기'들을 여전히 굴리고 있다.

전투임무기의 노후화는 말할 것도 없고 그간 조기경보 및 전자전 분야에서는 이렇다 할 전력이 전무하다시피 했던 북한에 이번 통제기는 현대적 의미의 공중전을 치를 수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북한은 이 항공기가 랜딩기어를 내린 상태로 공중에 떠 있는 사진을 공개해 무거운 레이돔을 올린 상태에서도 비행이 가능한 상태임을 시사했다.

물론 이날 처음 공개한 초도기 1대만으로는 정상적 작전 운용과 공역 통제가 어렵다는 분석이 있다.

한국 공군은 E-737 피스아이를 현재 4기 운용하고 있고, 4대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북한은 1대 있는 통제기를 평양 등 주요 공역 방어용 감시·정찰에 우선 투입할 공산이 크다.

북한은 이날 사진으로는 이 항공기를 공개했으면서도 글 기사에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온전히 자신들의 기술로 완성한 무기체계가 아니고 러시아나 중국의 도움이 절대적이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날 북한은 2023년 7월 '무장장비전시회'에서 공개했던 정찰기도 함께 내보였다. 미국산 '글로벌호크'를 빼닮은 기체다. 북한은 이를 두고 "지상과 해상에서의 적군의 활동을 추적 감시할 수 있는 탐지 능력을 갖춘 신형 무인전략정찰기"라 불렀다.

북한은 2015년 땅바닥에 지도를 그려놓고 병력이 손에 든 모형 전투기로 도보비행훈련을 하는 모습이 노출돼 '장난감 전투기 훈련'이라는 평을 들은 적이 있는데, 10년 만에 조기경보통제기와 무인정찰기를 거머쥔 모양새다.

북한은 이날 무인기가 전차, 장갑차, 자주포 등을 타격하는 모습도 함께 공개하면서 "새로운 인공지능 기술이 도입된 자폭 공격형 무인기들"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8월에도 선보였던 러시아제 '란쳇' 자폭 드론과 유사한 십자 날개 형상 무인기와 함께 주황색의 새로운 무인기도 모습을 드러냈으나 북한이 모자이크 처리해 정확히 파악되지는 않았다.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