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병원(감염내과 오명돈·박완범 교수)과 서울대(생화학교실 김상일·정준호 교수, 전기정보공학부 노진성·권성훈 교수) 공동 연구팀의 코로나 바이러스 연구 논문이 화제가 되고 있다.
복수의 매체에 따르면 서울대 연구팀은 우리국민은 사스나 메르스에 대해서는 면역세포를 갖고 있지 않은 데 비해, 코로나바이러스에 한해서는 중화항체를 생성하는 면역세포를 갖고 있다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논문이 발표되자, 많은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이 논문의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관해 갑론을박이 이어지기도 했다.
논문의 골자는 우리나라 사람의 몸안에는 이미 10명 중 6명(60.0%)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중화항체를 생성하는 면역세포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서울대병원에서 확진돼 치료를 받은 16명 중 13명(81.25%)에서 중화항체를 확인했고, 이를 생성하게 한 면역세포의 유전자가 비감염자 6명의 것과 일치한다."라는 사실을 복수의 매체에 확인해 준 것으로 알려졌다.
박완범 교수는 "비감염자가 중화항체를 만드는 면역세포를 이미 갖고 있으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침투했을 때 훨씬 더 빨리 중화항체를 만들 수 있다.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면역세포가 분화하면서 돌연변이가 생겨 항체를 만든다. 비확진자의 경우는 대개 2주~1개월 걸리는데 비해, 확진 후 치료를 받은 8명은 1주일 만에 매우 빠르게 중화항체를 갖고 있었다"라면서 "이렇게 빨리 중화항체가 생긴 이유는 아마 감염되기 전에도 이미 관련 유전자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또 박교수는 "중화항체를 만드는 면역세포를 비감염자가 갖고 있을 경우, 이 면역세포를 살짝 건드려도 항체가 바로 나오기 때문에 백신의 효과가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새로 면역세포를 만들어서 중화항체를 형성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라는 뜻"이라면서 “이번 발견으로 코로나19 감염에서 다른 바이러스보다 빠르게 중화항체가 생성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며 “공유 중화항체의 존재와 특성은 향후 코로나19와 유사한 팬데믹이 발생하였을 때 효과적인 백신과 항체치료제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부에서는 "우리나라 사람 60%의 몸 속에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면역세포가 있는 상태에서, 현재 알려진 코비드19의 치사율 (병에 걸려 사망에 이르는 비율)이 1% 정도로 낮게 나온다." 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전국민이 공포에 질려 벌벌 떨어야 될 하등의 이유가 있는지, 또한, 백신을 반드시 맞아야 할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라며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또한 백신의 부작용 사례도 꽤 올라오고 있으며, 안전성이 아직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국민을 상대로 백신을 접종하려는 시도보다는 케이스 별로 치료제 개발에 치중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국내 맘카페 중심으로 백신이 나와도 접종하지 않겠다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서울대팀의 연구 결과는 그간의 정부 정책의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서울대 연구팀의 결과대로라면, 우리 나라 국민은 중화항체를 이미 갖고 있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그만큼 백신 효율성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코로나 걸려도 중화항체를 이미 보유하기 때문에 치료제를 적당히 처방하면서 회복을 하는 편이 합리적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백신의 부작용 확률과 코비드19의 치사율, 중화항체의 보유율 등을 고려해 볼 때 무조건 백신을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접종하려는 정책은 의학적으로 볼 때도 다소 무리라는 견해도 있다.
코로나 방역이 정치 방역이라는 주장이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거리두기 2.5단계 및 마스크 정책, 확진자 발표 방식 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 초기에 KF94 급이 아닌 마스크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막을 수 없다고 했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 후에 아무 마스크나 써도 제재를 하고 있지 않다. 특히 의학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차단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진 덴탈 마스크나 면마스크를 써도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는다. 마스크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볼 때 정부의 방역정책을 믿을 수 없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또한 지하철과 버스 등 수백만명의 인원이 매일같이 모여있는 곳에서는 전혀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 점도 의문이다. 특히 교회와 요양병원 등에서만 코로나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정부의 발표는 특히 의심스러운 점이라는 것. 이러한 사례는 곧바로 정부의 정치방역 의혹으로 연결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코로나 초기에 "곧 코로나가 종식될 것" 이라고 몇 번을 말했다가 곧 번복하는 것도 정부 정책의 신뢰를 깨뜨렸으며, 외신에서 K방역을 칭찬했다는 식의 언론플레이를 통해 오히려 정부가 스스로 방역정책의 신뢰성을 떨어뜨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외 주요 언론의 K방역 칭찬기사의 상당부분은 대한민국 교포 리포터 또는 한국인 국적을 가진 서울 특파원의 기사였다는 점도 정부의 K방역 자화자찬의혹을 부채질 한다는 평이다.
한편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명율은 전 세계적으로는 2.18%이며 대한민국의 치명율은 1.82%로 나타나고 있어, 전 국민이 생계를 이어가지 못할 정도로 공포에 떨게 할 정도는 아니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또, 이런 치명율 또는 치사율은 코로나에 감염되기 전에 이미 심각한 기저질환을 앓고 있던 노약자의 숫자를 포함한 것이므로 코로나바이러스의 치명율은 알려진 것 보다 현저히 낮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 대목이다.
치명률은 특정의 질환을 이환(罹患)한 환자중에서, 사망한 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복수의 매체는 오명돈 교수의 말을 인용 "언제부터인지는 모르지만 우리나라 사람 몸에는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면역세포가 있고, 그 유전자 구성이 같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태어나면서 그 유전자를 갖고 태어나 대대로 이어져 온 것인지도 모른다"고 전했다.
후원하기
- 정기후원
- 일반 후원
- ARS 후원하기 1877-0583
- 무통장입금: 국민은행 917701-01-120396 (주)메이벅스
- 후원금은 CNN, 뉴욕타임즈, AP통신보다 공정하고
영향력있는 미디어가 되는데 소중히 쓰겠습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기사를 읽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