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세계 9위…도쿄·상하이보다 높아
서울,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세계 9위…도쿄·상하이보다 높아
  • 김건희 기자
    김건희 기자
  • 승인 2024.06.11 08: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0개 도시 글로벌 기관평가서 역대 최고 순위…AI·생명과학·로봇산업 강점
3년 전보다 창업생태계 가치 5배 이상 증가…"2030년까지 글로벌 톱5 도시로"

서울시가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세계 9위에 올랐다. 글로벌 기관 평가에서 역대 최고 순위이며 서울의 창업생태계 가치는 3년 전보다 5배 이상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 따르면 글로벌 창업생태계 평가기관인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은 10일(현지 시각) 영국 런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를 발표했다. 발표는 '런던 테크 위크'의 세션 중 하나인 '파운더스 스테이지'에서 이뤄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100개국, 300개 도시를 조사한 결과 서울은 창업생태계 평가 순위에서 역대 최고인 9위에 올랐다. 조사 기간은 2021년 7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2년 6개월이다.

이번 순위는 10위인 일본 도쿄, 11위인 중국 상하이보다 높다. 유럽의 대표적 창업도시로 손꼽히는 파리(14위), 베를린(15위)보다도 위에 올랐다.

서울은 2022년 평가에서 10위로 선정됐으나 고환율·고물가·고유가 및 국내 투자시장 위축에 지난해 12위로 밀렸다가 순위가 다시 상승했다.

서울의 창업생태계 가치는 2021년 54조원에 비해 5배 이상 증가한 30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당근마켓·시프트업 등 유니콘 기업이 20곳에 달하며, 크래프톤과 모딜 등 자금회수(exit)에 성공한 사례가 208건으로 늘어난 점이 창업생태계 가치를 올리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은 5개 평가항목 가운데 자금조달(10점), 생태계활동성(9점), 창의경험 및 인재양성(9점), 지식축적(9점) 4개 분야에서 10점 만점 중 9점 이상의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시장진출(7점) 분야는 지난해 1점이었던 것에서 크게 올랐다.

만점을 받은 자금조달 분야는 시 차원에서 자체 펀드를 조성해 바이오·인공지능·창조산업에 공격적으로 투자한 점이 영향을 줬다고 시는 분석했다. 아시아 도시 중 자금조달 분야는 1위를 기록했다.

시는 지난해부터 '서울 비전2030 펀드'를 조성해 미래 산업에 투자하고 있는데, 2026년까지 이 펀드 규모를 5조원으로 확대하는 등 정책금융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서울시 제공]

보고서는 서울이 창업 생태계에서 강세를 보이는 산업 분야로 AI·빅데이터·애널리틱스, 생명과학, 첨단 제조업·로봇산업을 꼽았다.

글로벌 창업생태계 1위는 미국 실리콘밸리가 차지했고 공동 2위는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 공동 4위는 로스앤젤레스와 이스라엘 텔아비브였다.

글로벌 상위 10위 안에 아시아 도시는 서울 포함 4곳으로 싱가포르(7위), 베이징(8위), 서울(9위), 도쿄(10위) 순이다.

상하이는 지난해 9위였지만 올해는 11위로 서울과 도쿄에 밀렸다.

이해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서울시가 혁신적인 창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꾸준하게 노력하고 창업 주체들이 협력하고 성장할 수 있게 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 실장은 "2030년까지 글로벌 톱5 창업 도시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원스톱 첨단기술 사업화 체계를 구축해 AI·바이오·로봇·양자 등 혁신기술 기반 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면서 "2030년까지 유니콘 기업 50개가 탄생하는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