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환경 분야 최대 정책·학술행사, 2년 뒤 서울서"

우주항공청, 2026년 ISWI 국제우주환경 학술대회 유치

2024-06-17     김현주 기자
윤영빈

40여개 유엔 회원국이 참여하는 우주환경 분야 최대 정책 교류 및 학술행사가 2년 뒤 한국에서 열린다고 우주항공청이 17일 밝혔다.

우주청은 지난 14일(현지 시각) 독일 노이스트렐리츠에서 폐막한 2024년 유엔 국제우주환경학술행사(ISWI·International Space Weather Initiative)에서 2026년 제13회 ISWI 개최국으로 한국이 확정됐다고 전했다.

ISWI는 우주환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다양한 우주 환경 피해 현상을 관리하는 등 국제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2009년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UN COPUOS)와 유엔우주업무사무국(UNOOSA) 주도로 설립됐다.

ISWI는 통상 2년마다 한 번씩 나라를 돌아가며 학술행사를 개최하는데, 올해 독일 행사에서는 우주환경분야 연구자와 각국 우주환경기관 수장 등 250여명이 참여해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우주환경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이 유치한 13회 학술대회는 2026년 5월 25~29일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며, '태양활동 극대기-국제사회의 대응'을 주제로 우주전파재난 대응 방안 등 최신 연구 결과와 기술을 공유할 전망이다.

우주항공청 우주환경센터는 우주청 출범 이전부터 한국천문연구원, 서울관광재단 등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2026년 ISWI 학술행사 유치를 추진해 왔다고 전했다.

우주환경센터는 유치 전반에 대한 업무를 총괄했으며, 천문연구원은 국제연구네트워크를 활용한 유치 지원 및 학술교류, 서울관광재단은 유치전략 컨설팅, 홍보활동 등을 지원했다고 덧붙였다.

우주청은 ISWI 유치를 계기로 우리나라가 우주환경 분야에서 국제위상을 높이는 한편, 학술교류를 활성화하고 국가 간 우주기술 정책 공조를 확대할 계획이다.

나현준 우주환경센터장은 "행사를 내실 있게 준비하고 추진해 대한민국의 우주환경 연구 및 예보 역량을 세계에 알리고, 우주환경 분야 국제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협력해 가겠다"라고 말했다.

나현준

(출처: 연합뉴스 보도자료)